이것저것 리뷰
만 나이 통일로 달라지는 것들 무엇이 있을까? 본문
민법과 행정기본법이 개정되어,
2023년 6월 28일 부로 나이 계산법이 '만 나이'로 통일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20대 초반부터 대한민국의 나이 계산법에 대해 의문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한 살로 나이를 계산하는 것이 과연 현명한 선택인 걸까? 싶었습니다.
특히 동일한 해에 태어났지만 나이가 더 어린 외국인들을 볼 때면 그 의구심은 더욱 커졌습니다. ( 한편으로 조금 억울하기도 😥)

그러던 때에,
작년 12월 Article을 통해 23년도부터는 우리나라도 ' 만 나이 '로 통일한다는 소식을 접하고 매우 신나했었습니다.
그리고 얼마 전 6월 28일 부로 나이 계산법이 통일되었을 때는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만 나이로 나이를 계산하게 되면,
과연 무엇이 달라지는 걸까?

우선 HR 관점에서 달라지는 점을 찾아 보자면,
사실 달라지는 점은 크게 없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미 노동관계법령에서는 별도 규정이 없는 경우에는 필히 만 나이로 해석해 왔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번에 만 나이로 나이 계산법이 달라졌다고 해도 HR 관리 업무 상 달라질 것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기업에서 정하는 취업규칙, 복지 제도, 정년 등 별도 규정으로 나이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각 해석이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에, 기업 측은 사전에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 논란 또는 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 나의 만 나이 계산해보기 ▼
만 나이 계산 : 네이버 통합검색
'만 나이 계산'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이러한 나이 계산법의 변화로 국내외 다양한 부분에서 달리지는 내용이 발생할텐데요,
추후 관련하여 알아두면 좋은 내용으로 정리해서 다시 공유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택근무를 '잘' 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 조성 / 재택근무 준비, 주의사항 (1) | 2023.07.19 |
---|---|
퇴근 1시간 전 밥 먹기, Yes인가요 No인가요? (1) | 2023.07.18 |
조용한 퇴사, 이번에는 '요란한 퇴사'? (2) | 2023.07.08 |
Gitlab, 그들은 왜 All-Remote work(100% 원격근무)를 선택했을까? (0) | 2023.07.05 |
[Info.] iOS 관련 Conference 확인하고 가세요! (0) | 2023.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