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저것 리뷰
Gitlab, 그들은 왜 All-Remote work(100% 원격근무)를 선택했을까? 본문
100% All-Remote work를 추구하는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Gitlab 입니다.

그들은 원격근무 100%를 실행하기 위해 그들의 시간과 돈을 투자해 환경 및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하나의 조직문화로 정착될 수 있도록 내외부에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
그 시작점이 정확히 무엇이었을 지는 알 수 없지만(maybe 코로나 바이러스?), 한 가지 명확한 것은 Gitlab은 원격근무에 존재하는 단점보다 장점을 더욱 크게 보았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Gitlab이 원격근무의 가장 큰 단점이라고 일컬어지는 팀원 간의 교류 및 협업의 중요성을 간과해서 100% 원격근무를 채택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 그들은 원격근무를 어떻게 관리할까?
그렇다고 하기에는, 그들이 원격근무를 통해 이루어 온 지금까지의 성과와 성장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그 중에서도 Gitlab은 세계적으로 수많은 IT 종사자들의 교류와 커뮤니케이션을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 박수를 받을만 한 것 같습니다.

그런 점들로 미루어 보면, 아직까지 원격근무의 장점보다 단점에 주목하는 경우가 더 많은 우리나라는 아쉬운 점이 많아 보입니다.
물론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집단 생활과 상호관계적인 것을 더 선호하고 이미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원격근무가 교류 및 협업을 저해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거기에 더해서, ' 눈 앞에 두고 감시해야 한다 '는 우리나라 관리자급의 변하지 않는 신념(?)이 크게 한 몫 하고 있기도 할 것입니다.
(하지만 사무실로 출근해도 일을 안 하는 직원은 끝까지 안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그런 직원은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직원 평가를 통해 성과를 측정하여 관리해야 할 부분입니다)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그에 따라 근무 환경 및 노동자들의 가치관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원격근무를 할 수 있는 충분한 인프라와 기회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통해 누릴 수 있는 장점을 실제로 누릴 수 없는 상황에 처한다면, 그들은 앞으로 더 뒤도 돌아보지 않고 이직을 하거나 퇴직할 것입니다.
그것은 기업 입장에서도 구성원 리텐션을 저하할 뿐만 아니라 사기 진작에도 실패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는 문제를 얻게 되는 일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내 주변에도 코로나 감염률이 줄어들며 차츰 원격근무가 사라지자 원격근무를 유지하는 기업으로 가감없이 이직해버리는 사람들이 많았어요)

결국 우리 또한 원격근무는 선택이 아닌 필수인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들은 원격근무를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만 여길 것이 아니라, 원격근무의 단점은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통해 충분히 개선하고, 100% All-Remote work가 언제든 가능한 환경을 빠르게 만드는 것이 가장 현명한 태도가 아닐까요?
▼ Gitlab 더 알아보기 ▼
♧ Gitlab 알아보기
♧ Gitlab All-Remote work 알아보기
♧ Gitlab, 사무실 임대료를 왜 내죠? 기사 확인하기
♧ Gitlab에서 100% 재택근무로 일하기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 나이 통일로 달라지는 것들 무엇이 있을까? (3) | 2023.07.11 |
---|---|
조용한 퇴사, 이번에는 '요란한 퇴사'? (2) | 2023.07.08 |
[Info.] iOS 관련 Conference 확인하고 가세요! (0) | 2023.06.13 |
다양성 시대(Diversity in Talent Management) / 편향 종류, 포용적 리더 특징 정리 (0) | 2023.05.20 |
매너리즘(Mannerism), 개인만의 영역일까? 의미, 해결방안 (2) | 202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