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저것 리뷰
그것이 알고싶다 휴대폰 괴담, '지켜보고 있다' / 해킹, 불법촬영, 금전탈취, 협박 등에 노출 본문
너무 무섭고 충격적이었습니다.
29일 어제 방송된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휴대폰을 둘러싼 괴담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공포감은 진짜 말로 할 수가 없었어요. 제발 그만해 줬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휴대폰에 대고 울면서 빌었어요.”
"자다 일어나서 휴대폰 보는 거부터 해서, 잠옷 입고 돌아다니는 것까지…. 머리가 하얘지고 식은땀 나고 그랬죠…. 도대체 어디까지 봤을까.”
이번 <그것이 알고 싶다> 방송은 스마트폰 해킹 범죄로 인해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하고, 피해자들의 정신적 그리고 금전적 피해가 극심하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어 문득 이 영화가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넷플릭스]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 공식 예고편
Netflix Korea | 당신의 모든 것을 알고 있는 스마트폰 누군가 당신의 스마트폰으로 당신인 척 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2월 17일, 오직 넷플릭스에서 ----------------------------------------
tv.naver.com
올 초 2월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영화가 개봉했었는데요, 혹시 보셨나요?
저는 영화가 넷플릭스에서 업로드가 되자마자 바로 봤었는데, 당시에도 그 내용들이 너무 충격적이었습니다.

나미(천우희)는 실수로 스마트폰을 버스에 두고 내렸을 뿐인데, 해킹 범죄의 타깃이 돼버렸기 때문입니다. 범인인 준영(임시완)은 나미에게 스마트폰을 주웠다며 돌려주지만, 자신이 고의로 파손한 나미의 스마트폰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그 스마트폰에 해킹 앱을 몰래 설치합니다.

그리고 그 이후부터 나미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기 시작한 준영과 점차 무너지는 나미의 일상. 나중에 그 사실을 알게 된 나미는 말로는 다 할 수 없는 극한의 공포와 분노에 휩싸이에 되죠.

그 영화를 보면서, 어쩌면 이제는 가족이나 친구보다 더 우리와 가깝고 우리를 더 잘 알고 있을 스마트폰이 우리의 인생을 뿌리째 흔들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니 더 공포감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취재 과정에서 표창원 범죄과학연구소 소장님도 그와 비슷한 피싱 사기 관련 연락을 받았었다는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그리고 표창원 소장님의 사진이 중국인의 이름으로 된 SNS 계정에 도용되고 있다고 하는데, 정말 피싱 범죄는 끝이 없다는 느낌이 듭니다.
이번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SNS에서 많은 인플루언서를 대상으로 마케팅 활동을 제안하며 접근했던 여성 K 씨가 범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했습니다.



범인은 다수의 피해자에게 'SNS 마케팅 활동을 위해 제품을 반값에 구매할 수 있게 해 주겠다. 내가 보내주는 URL 또는 QR 바코드로 앱을 다운로드하여 확인해 봐라'라는 식으로 접근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마케팅 활동의 일환이기 때문에 피해자들은 당연히 의심 없이 URL이나 QR 바코드를 통해 앱을 다운로드하였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알고 싶다> 팀은 한 피해자가 SNS의 DM을 통해 전달받았던 QR 바코드 속에, 설치하는 순간 해킹(원격 제어) 앱이 함께 다운로드되는 코드가 들어 있었다는 사실을 전문가 진단으로 밝혀 냈습니다. 피해자는 그 사실을 전해 듣고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범인은 그 원격 제어 앱을 통해 피해자들의 사생활을 훔쳐보고 사진 및 동영상을 몰래 촬영했습니다. 그리고 그 촬영본과 핸드폰에서 빼낸 정보 등을 바탕으로 피해자들을 협박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결국 이러한 사건은, 일상생활 속에서 조심한다고 애를 써도 전혀 생각하지도 못한 방법으로 피싱 범죄에 당할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하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이러한 피싱 범죄는 불법 촬영, 개인정보 도용, 금전 절취 등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피싱은 잠재적인 살인 행위입니다. 그 피싱 범죄로 인해 많은 피해자가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정부는 그러한 피싱 범죄를 예방하고 해결하는 데 조금 더 힘을 써 주기를 바라며, 피싱 범죄를 사기 혐의로만 생각하기보다는 피해가 크다면 살인에 준하는 정도의 처벌을 할 수 있도록 법률을 검토해 준다면 좋겠습니다. (가해자들의 재산 몰수 등을 통한 피해자 구제 방안도 조금 더 적극적으로 만들어 나가면 좋을 것 같고요)
또한, 최대한 피싱 범죄에 당하지 않도록 우리 국민들은 조금 더 경각심을 가지고 범죄 유형이나 사례 등을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서로서로가 돕는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피싱 사기 예방 방법
- 저장되지 않은 번호로 온 전화나 문자 또는 모르는 이메일 주소로 온 이메일은 가급적이면 대응하지 않고 바로 삭제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출처가 불분명한 URL이나 QR코드로는 절대 접속하지 않아야 합니다.
- 그리고 SNS의 DM을 통한 마케팅 활동 제안 등과 같은 내용도 한 번씩 은 더 의심을 해보고 대응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그 외에도 현재는 저장되어 있는 번호로도 피싱 전화나 문자, 카톡 등이 수신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점도 일상생활에서 염두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기 유튜버 대도서관 윰댕 부부, 라이브 방송으로 한 '이혼 발표', 왜? (1) | 2023.07.31 |
---|---|
규모 3.5 전북 장수 지진, 국내 세 번째 규모 / 지진강도, 긴급재난문자, 행동 요령 (0) | 2023.07.31 |
정리수납 전문가 김대표 사기 혐의 '임금체불'과 '채무 불이행' 충격 / 실화탐사대 취재 방송 (3) | 2023.07.29 |
'동물 성격 테스트', 나와 가장 가까운 동물은? (3) | 2023.07.27 |
노량진 '대박분식' 배민에서 평점 테러? / 노부부 분식점, 메뉴, 위치 등 (0) | 2023.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