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저것 리뷰

청년희망적금? 이번에는 '청년도약계좌' 청년 혜택, 적금 본문

이슈

청년희망적금? 이번에는 '청년도약계좌' 청년 혜택, 적금

올이브 2023. 6. 19. 18:21
728x90
반응형

 

 

 

 

대략 280만 명이 넘는 청년이 가입했던 청년희망적금 기억나시나요?

 

 

해당 정책금융 상품은,

월 최대 50만 원씩 2년 동안 납입하여 총 1,200만 원을 모을 경우, 최대 61만 원의 이득을 볼 수 있는 상품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새로이 '청년도약계좌' 상품이 출시되었는데요,

 

 

5년 동안, 매달 최대 70만 원을 납입하면,

 

약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정책금융 상품입니다.

 

 

 

물론!

아무래도 5년 동안 꾸준히 납입해야 한다는 점이 부담이 될 수도 있지만,

 

일반 적금 금리와 비교했을 때 기준 금리가 더 높을뿐만 아니라,

정부 기여금 지원 + 비과세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더 큰 상품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게 정확히 뭐지? 하시는 분들을 위해,

해당 상품에 대하여 가장 궁금할만한 내용을 찾아찾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포스팅 하단 확인)

 

 

은행별 금리 및 조건 등은 네이버에 '청년도약계좌' 검색하여 쉽게 확인 가능하며,

이외의 자세한 사항은 아래 금융위원회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sm=mtp_hty.top&where=m&query=%EC%B2%AD%EB%85%84%EB%8F%84%EC%95%BD%EA%B3%84%EC%A2%8C

 

청년도약계좌 : 네이버 통합검색

'청년도약계좌'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m.search.naver.com

 

 

 

 

 금융소식 - 금융위원회 알기쉬운·금융

 

https://www.fsc.go.kr/edu/news/79595

 

금융소식 - 금융위원회 알기쉬운·금융

[1] 가입후 3년(이상)은 고정금리 적용 예정, 저소득층에 일정수준의 우대금리를 부여하도록 협의, 금리수준은 확정 후 금융협회 홈페이지 등에 공시 예정 [2] 관계법령상 취급이 허용되어 있으

www.fsc.go.kr

 

 

 

 

 

 

 

  가장 많은 질문 확인하기

 

매달 70만 원을 납입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납입 금액이 부담된다면,

정부 기여금의 지급 한도에 맞춰서 납입액을 정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가입해야 하나요?

 

매달 신규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적금 상품이나 청년희망적금 등

다양한 상품과 비교하여 충분히 살펴본 후에 신청해도 됩니다.

 

 

최대 이율은 몇 % 인가요?

 

청년도약계좌의 최대 이율은 6% 입니다.

 

다만, 은행별로 우대 금리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에게 적합한 은행을 선택하여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본금리(3년 고정)는 최소 3.8%부터 최대 4.5%까지로

은행별로 상이합니다.

 

- 소득 우대금리는, 소득 수준이 기준보다 낮을 경우

우대금리를 적용합니다.

이는 모든 은행이 0.5%로 동일합니다.

 

- 은행별로 상이하게 추가 우대 금리가 있습니다.

이는 각 은행에서 모든 우대 조건을 충족할 경우 적용됩니다.

위의 모든 금리 조건을 적용하였을 경우,

최종적으로 최대 6%의 이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